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과 학부모님들을 위해 2025학년도 이후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각 전형의 특징, 2025학년도 이후 변화, 상위권 10개 대학의 전형별 선발 비율, 그리고 내신 등급 커트라인까지 꼼꼼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학생부교과전형이란?
- 내신 성적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전형입니다.
- 대부분 정량 평가 방식으로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유리합니다.
- 일부 대학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 비교과 활동(봉사, 동아리 등)의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지원 전략
내신 성적이 우수하다면 학생부교과전형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시
- 고려대: 학생부교과(학교추천) 전형 운영
- 연세대: 일부 면접형 교과전형 운영
- 서울대: 교과전형 없이 종합전형 중심
2.학생부종합전형이란?
- 내신 성적뿐만 아니라 비교과 활동(동아리, 봉사, 진로 활동 등)도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 학생의 학업 역량, 자기주도성, 인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 면접을 포함하는 대학도 많습니다.
- 대학마다 평가 방식이 다르고, 정성 평가가 포함됩니다.
- 2024학년도부터 자기소개서 제출이 폐지되었으며, 학교생활기록부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지원 전략
다양한 경험과 활동을 통해 본인의 강점을 어필할 수 있는 학생들에게 유리합니다.
예시
- 서울대: 학업우수형 & 일반형 학생부종합전형 운영
- 성균관대: ‘계열모집’ → ‘융합형’으로 변경 (2025)
- 한양대: 서류 100% 학생부종합전형 운영
3. 학생부교과 vs 학생부종합, 한눈에 비교
구분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방식 | 내신 성적 위주 (정량 평가) | 성적 + 비교과 활동 (정성 평가) |
수능 최저 적용 여부 | 대학별 다름 | 대학별 다름 |
면접 여부 | 대학별 다름 | 대학별 다름 (포함하는 경우 많음) |
자기소개서 제출 여부 | 필요 없음 | 2024학년도부터 폐지됨 |
유리한 학생 유형 |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 | 비교과 활동이 많은 학생 |
전략 포인트 | 내신 성적 관리 집중 | 다양한 경험과 면접 대비 |
지원 전략
- 내신 성적이 뛰어나면 교과전형을 적극 활용
- 비교과 활동이 많다면 종합전형 공략
- 대학별 입시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대비
4. 2025학년도 이후, 바뀌는 점은?
입시 변화에 따라 전략도 달라져야 합니다.
- 서울대: 학업우수형 & 일반형 학생부종합전형 도입
- 성균관대: 계열모집 → 융합형, 학과모집 → 탐구형으로 변경
- 서울시립대: 면접형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 비율 증가
- 자기소개서 폐지: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자기소개서를 제출하지 않음
전략
- 최신 입시 정보를 수시로 확인해야 합니다.
- 지원하려는 대학의 입학처 공지를 꼼꼼하게 살펴야 합니다.
5. 상위권 10개 대학 학생부교과 vs 학생부종합 선발 비율
상위권 대학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학생부교과전형의 비중은 낮은 편입니다. 아래는 2025학년도 기준 주요 대학의 전형별 선발 비율입니다.
대학명 학생부교과전형 비율 학생부종합전형 비율
서울대학교 | 미시행 | 약 55% |
연세대학교 | 약 10% | 약 50% |
고려대학교 | 약 10% | 약 60% |
성균관대학교 | 약 15% | 약 50% |
한양대학교 | 약 12% | 약 45% |
서강대학교 | 약 10% | 약 50% |
중앙대학교 | 약 20% | 약 40% |
경희대학교 | 약 25% | 약 35% |
이화여자대학교 | 약 15% | 약 50% |
한국외국어대학교 | 약 20% | 약 40% |
해석 및 전략
-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최상위권 대학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율이 높음
- 중앙대, 경희대, 외대 등 일부 대학에서는 학생부교과전형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자신이 강점이 있는 전형을 고려하여 지원 대학을 선택해야 함
6. 내신 등급 커트라인
상위권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요구하는 내신 등급 커트라인은 대학과 모집단위에 따라 다르며, 매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향이 있습니다:
- 학생부교과전형: 내신 성적이 주요 평가 요소이므로, 상위권 대학에서는 평균 1등급대 초반의 성적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경영 관련 학과의 경우 1등급대 초반이 커트라인인 경우가 있습니다.
- 학생부종합전형: 내신 성적뿐만 아니라 비교과 활동, 면접 등이 종합적으로 평가되므로, 내신 등급의 범위가 다소 넓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위권 대학에서는 평균 1등급대 중반에서 2등급대 초반의 성적을 가진 학생들이 합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의사항: 내신 등급 커트라인은 매년 지원자 풀, 경쟁률, 대학의 입시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hat is the comprehensive student division admissions and the student division admissions? (After 2025)
'아이키우기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 어렵게 생각했는데 게임이론은 재밌네 : 실생활에서 최적의 선택을 찾는 법 (0) | 2025.03.11 |
---|---|
고교 선택과목 ‘금융과 경제생활’ 신설! 어떤 내용을 배우고, 언제부터 시행될까? (2) | 2025.03.06 |
2025학년도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심리학과 지원하는 일반고 학생을 위한 전략 (0) | 2025.03.04 |
전공을 정하지 못했다면? 대학 간판 vs. 취업 잘되는 과,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까? (0) | 2025.03.03 |
중학교 입학 후 학습량 증가, 학원과 자기주도학습 균형 맞추는 법 (0) | 2025.02.25 |
대학 입시를 준비하는 수험생과 학부모님들을 위해 2025학년도 이후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각 전형의 특징, 2025학년도 이후 변화, 상위권 10개 대학의 전형별 선발 비율, 그리고 내신 등급 커트라인까지 꼼꼼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학생부교과전형이란?
- 내신 성적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전형입니다.
- 대부분 정량 평가 방식으로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유리합니다.
- 일부 대학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 비교과 활동(봉사, 동아리 등)의 영향이 거의 없습니다.
지원 전략
내신 성적이 우수하다면 학생부교과전형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시
- 고려대: 학생부교과(학교추천) 전형 운영
- 연세대: 일부 면접형 교과전형 운영
- 서울대: 교과전형 없이 종합전형 중심
2.학생부종합전형이란?
- 내신 성적뿐만 아니라 비교과 활동(동아리, 봉사, 진로 활동 등)도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 학생의 학업 역량, 자기주도성, 인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 면접을 포함하는 대학도 많습니다.
- 대학마다 평가 방식이 다르고, 정성 평가가 포함됩니다.
- 2024학년도부터 자기소개서 제출이 폐지되었으며, 학교생활기록부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지원 전략
다양한 경험과 활동을 통해 본인의 강점을 어필할 수 있는 학생들에게 유리합니다.
예시
- 서울대: 학업우수형 & 일반형 학생부종합전형 운영
- 성균관대: ‘계열모집’ → ‘융합형’으로 변경 (2025)
- 한양대: 서류 100% 학생부종합전형 운영
3. 학생부교과 vs 학생부종합, 한눈에 비교
구분 학생부교과전형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방식 | 내신 성적 위주 (정량 평가) | 성적 + 비교과 활동 (정성 평가) |
수능 최저 적용 여부 | 대학별 다름 | 대학별 다름 |
면접 여부 | 대학별 다름 | 대학별 다름 (포함하는 경우 많음) |
자기소개서 제출 여부 | 필요 없음 | 2024학년도부터 폐지됨 |
유리한 학생 유형 |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 | 비교과 활동이 많은 학생 |
전략 포인트 | 내신 성적 관리 집중 | 다양한 경험과 면접 대비 |
지원 전략
- 내신 성적이 뛰어나면 교과전형을 적극 활용
- 비교과 활동이 많다면 종합전형 공략
- 대학별 입시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대비
4. 2025학년도 이후, 바뀌는 점은?
입시 변화에 따라 전략도 달라져야 합니다.
- 서울대: 학업우수형 & 일반형 학생부종합전형 도입
- 성균관대: 계열모집 → 융합형, 학과모집 → 탐구형으로 변경
- 서울시립대: 면접형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 비율 증가
- 자기소개서 폐지: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자기소개서를 제출하지 않음
전략
- 최신 입시 정보를 수시로 확인해야 합니다.
- 지원하려는 대학의 입학처 공지를 꼼꼼하게 살펴야 합니다.
5. 상위권 10개 대학 학생부교과 vs 학생부종합 선발 비율
상위권 대학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학생부교과전형의 비중은 낮은 편입니다. 아래는 2025학년도 기준 주요 대학의 전형별 선발 비율입니다.
대학명 학생부교과전형 비율 학생부종합전형 비율
서울대학교 | 미시행 | 약 55% |
연세대학교 | 약 10% | 약 50% |
고려대학교 | 약 10% | 약 60% |
성균관대학교 | 약 15% | 약 50% |
한양대학교 | 약 12% | 약 45% |
서강대학교 | 약 10% | 약 50% |
중앙대학교 | 약 20% | 약 40% |
경희대학교 | 약 25% | 약 35% |
이화여자대학교 | 약 15% | 약 50% |
한국외국어대학교 | 약 20% | 약 40% |
해석 및 전략
-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최상위권 대학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율이 높음
- 중앙대, 경희대, 외대 등 일부 대학에서는 학생부교과전형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자신이 강점이 있는 전형을 고려하여 지원 대학을 선택해야 함
6. 내신 등급 커트라인
상위권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요구하는 내신 등급 커트라인은 대학과 모집단위에 따라 다르며, 매년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향이 있습니다:
- 학생부교과전형: 내신 성적이 주요 평가 요소이므로, 상위권 대학에서는 평균 1등급대 초반의 성적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경영 관련 학과의 경우 1등급대 초반이 커트라인인 경우가 있습니다.
- 학생부종합전형: 내신 성적뿐만 아니라 비교과 활동, 면접 등이 종합적으로 평가되므로, 내신 등급의 범위가 다소 넓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위권 대학에서는 평균 1등급대 중반에서 2등급대 초반의 성적을 가진 학생들이 합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의사항: 내신 등급 커트라인은 매년 지원자 풀, 경쟁률, 대학의 입시 정책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hat is the comprehensive student division admissions and the student division admissions? (After 2025)
'아이키우기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학 어렵게 생각했는데 게임이론은 재밌네 : 실생활에서 최적의 선택을 찾는 법 (0) | 2025.03.11 |
---|---|
고교 선택과목 ‘금융과 경제생활’ 신설! 어떤 내용을 배우고, 언제부터 시행될까? (2) | 2025.03.06 |
2025학년도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심리학과 지원하는 일반고 학생을 위한 전략 (0) | 2025.03.04 |
전공을 정하지 못했다면? 대학 간판 vs. 취업 잘되는 과, 어디에 초점을 맞춰야 할까? (0) | 2025.03.03 |
중학교 입학 후 학습량 증가, 학원과 자기주도학습 균형 맞추는 법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