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얼마 전 유퀴즈에 연세대 한순구 교수가 출연해 게임이론에 대해 이야기하는 걸 봤어요.
게임이론은 단순한 수학적 개념이 아니라, 우리가 일상에서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강력한 도구예요. 오늘은 게임이론의 기본 개념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예시를 현실적인 상황과 함께 소개할게요.
I thought economics was hard, but game theory is fun: how to find the best choice in real life
게임이론이란?
게임이론(Game Theory)은 경제학, 심리학, 수학 등이 결합된 학문으로, 여러 주체(플레이어)가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려고 할 때 어떤 전략을 선택해야 하는지를 분석하는 이론이에요. 상대방의 선택을 고려하면서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것이 핵심이죠.
대표적인 개념으로는 내쉬 균형(Nash Equilibrium),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극단적 전략(Dominant Strategy) 등이 있어요.
게임이론의 실생활 적용 예시
1. 죄수의 딜레마: 친구와의 시험 부정행위 고민
- 대학생 A와 B가 시험 중에 서로 답을 공유할지 고민하고 있어요. 만약 둘 다 답을 공유하면 둘 다 비슷한 점수를 받고 무난히 통과할 거예요. 하지만 한 명만 공유하고 다른 한 명은 공유하지 않으면, 공유한 사람은 낮은 점수를 받고, 받기만 한 사람은 높은 점수를 받을 거예요. 만약 둘 다 공유하지 않으면 각각 자기 실력대로 성적을 받게 되죠.
- 여기서 문제는 '상대방이 나를 배신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에요. 이 딜레마 속에서 신뢰가 중요하며, 현실에서도 회사 간 협력, 국가 간 조약 등에서 비슷한 상황이 반복돼요.
2. 치킨게임: 연인과의 싸움에서 누가 먼저 사과할까?
- A와 B가 연인 사이인데, 사소한 일로 크게 다퉜어요. 두 사람 다 먼저 사과하면 관계는 금방 회복될 거예요. 하지만 한 사람이 사과하고 다른 사람은 그냥 넘어가면, 사과한 사람이 약자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고 느낄 수 있어요. 만약 둘 다 끝까지 사과하지 않으면, 관계가 악화될 수도 있어요.
- 이 상황은 정치적 협상이나 회사 간 경쟁에서도 자주 일어나요. 결국, 한쪽이 적절한 시점에 양보하는 것이 최악의 결과를 피하는 전략이 될 수 있어요.
3. 최적화된 선택: 할인 쿠폰을 쓸 것인가 말 것인가?
- 당신이 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20% 할인 쿠폰을 받았다고 가정해요. 그런데 할인 쿠폰을 오늘 써야 할지, 다음 할인 이벤트를 기다려야 할지 고민돼요. 지금 쿠폰을 쓰면 원하는 제품을 조금 저렴하게 살 수 있지만, 다음번에 더 큰 할인이 있을 수도 있어요. 그러나 너무 오래 기다리면 인기 상품이 품절될 가능성도 있죠.
- 이처럼 우리는 늘 최적의 결정을 내리려고 고민하는데, 기업도 마찬가지예요. 항공사에서 비행기 티켓 가격을 변동시키는 것도, 고객이 어떤 선택을 할지를 예측하는 게임이론을 기반으로 한 전략이에요.
4. 공공재 게임: 단톡방에서 회비 걷기
- 친구들과 단체 여행을 가는데, 공용 비용을 위해 1인당 5만 원씩 내기로 했어요. 하지만 몇 명이 "나는 이번에 돈이 부족해"라며 내지 않으려 해요. 결국 몇몇 사람이 더 내야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여행 계획이 취소될 수도 있어요.
- 이런 무임승차 문제는 세금 납부, 환경 보호 등에서도 나타나요. 그래서 정부는 세금 감면 혜택을 주거나, 기업은 로열티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사람들이 협력하도록 유도해요.
게임이론을 활용하는 법
- 경쟁에서 이기는 법: 상대방의 선택을 예측해 최적의 전략을 세운다.
- 협상의 기술: 서로의 이익을 고려하며 균형점을 찾는다.
- 비즈니스 전략: 가격 책정, 마케팅, 기업 간 경쟁에서 활용한다.
- 인간관계: 친구, 가족과의 관계에서도 적절한 타협과 협력이 중요하다. 연애에도 우리가 사용하고 있더라고요.
게임이론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는 실용적인 개념이에요.
상대방의 의도를 고려하면서 전략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우리가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다음번에 중요한 선택을 할 때, 게임이론을 떠올려보세요!
728x90
반응형
'아이키우기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 교육 길라잡이 『우리 아이를 위한 입시지도』 – 심정섭 저 (1) | 2025.03.11 |
---|---|
내 아이를 위한 교육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내 아이를 위한 사교육은 없다』 – 김현주 저 (0) | 2025.03.11 |
고교 선택과목 ‘금융과 경제생활’ 신설! 어떤 내용을 배우고, 언제부터 시행될까? (2) | 2025.03.06 |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이 뭔가요? (2025년 이후) (0) | 2025.03.05 |
2025학년도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심리학과 지원하는 일반고 학생을 위한 전략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