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취도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병기란 무엇인가
2025년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의 성취 결과를 보다 입체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성취도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석차등급)를 함께 표기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두 가지 평가 방식은 각기 다른 의미와 역할을 가지며, 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학업 성과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The meaning and utiliz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chievement evaluation, absolute evaluation, and relative evaluation weapons

1. 성취도 절대평가란?
성취도 절대평가는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학생의 성취 수준을 등급으로 나타내는 평가 방식이다. 다른 학생과의 상대적 비교가 아니라, 스스로의 학습 성과가 정해진 도달 기준에 얼마나 도달했는지를 보여준다.
성취도 절대평가 등급 기준(예시):
점수 구간 성취도 등급 의미
90점 이상 | A | 매우 우수 |
80~89점 | B | 우수 |
70~79점 | C | 보통 |
60~69점 | D | 부족하지만 최소 기준 충족 |
40~59점 | E | 미달 (미이수 처리) |
E등급을 받은 과목은 학점을 인정받지 못하며, 보충 이수 등을 통해 학점을 다시 취득해야 한다.
2. 상대평가(석차등급)란?
상대평가는 같은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성취 결과를 비교하여 석차 등급으로 나타내는 방식이다. 이는 학생의 상대적 경쟁력을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상대평가(석차등급) 기준(예시):
석차 등급 구간 등급
상위 4% 이내 | 1등급 |
상위 11% 이내 | 2등급 |
상위 23% 이내 | 3등급 |
상위 40% 이내 | 4등급 |
그 외 구간 | 5~9등급 |
상대평가는 동일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집단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어, 학생이 어느 정도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3. 병기하는 이유
성취도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병기하는 이유는 학생의 학습 성과를 다각도로 평가하기 위함이다.
- 절대평가는 학생이 기준을 얼마나 충족했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성실성과 학습 태도를 반영하며, 자기 주도 학습의 결과로 볼 수 있다.
- 상대평가는 동일 조건 내에서 학생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여준다. 이는 경쟁력과 비교 우위를 나타내는 지표다.
두 가지 평가 결과를 함께 표기함으로써 학생의 학업 수준과 경쟁력 모두를 대학 및 향후 진로 평가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4. 구체적 예시
실제 학생의 성취 결과 표기 예시는 다음과 같다.
과목명 절대평가(성취도) 상대평가(석차 등급)
영어Ⅱ | A (매우 우수) | 2등급 (상위 11% 이내) |
미적분 | B (우수) | 3등급 (상위 23% 이내) |
한국사 | C (보통) | 4등급 (상위 40% 이내) |
5. 결론 및 시사점
고교학점제에서 성취도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병기는 학습 결과를 더욱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이다. 학생과 학부모는 절대평가를 통해 학습의 성실도와 이해도를 점검해야 하며, 상대평가를 통해 경쟁력 또한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학생은 기본 개념과 학습 태도를 충실히 다져 절대평가 기준을 충족함과 동시에, 과목 선택 시에는 경쟁력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학부모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정기적인 성취도 점검과 학교 상담, 과목 선택 지도를 통해 자녀의 학습 계획과 방향성을 함께 점검해야 한다.
'아이키우기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를 잘하는 유전자가 정말 있을까? 과학적으로 접근한 진실과 부모가 알아야 할 점 (1) | 2025.03.26 |
---|---|
고교학점제에서 '최소 성취 수준 보장제도' 는 무엇인가? (0) | 2025.03.25 |
2028 수능 통합형 과목 구성, 어떻게 바뀌나?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정리 (0) | 2025.03.25 |
고교학점제, 선택 과목이 개설되지 않으면 어떻게 배우나요? 대안 학습 방법 총정리 (0) | 2025.03.25 |
중학교 3학년, 학부모 상담에서 꼭 물어볼 것들 (0) | 2025.03.21 |
성취도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병기란 무엇인가
2025년 전면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에서는 학생의 성취 결과를 보다 입체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성취도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석차등급)를 함께 표기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두 가지 평가 방식은 각기 다른 의미와 역할을 가지며, 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학생의 학업 성과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The meaning and utiliz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chievement evaluation, absolute evaluation, and relative evaluation weapons

1. 성취도 절대평가란?
성취도 절대평가는 정해진 기준에 따라 학생의 성취 수준을 등급으로 나타내는 평가 방식이다. 다른 학생과의 상대적 비교가 아니라, 스스로의 학습 성과가 정해진 도달 기준에 얼마나 도달했는지를 보여준다.
성취도 절대평가 등급 기준(예시):
점수 구간 성취도 등급 의미
90점 이상 | A | 매우 우수 |
80~89점 | B | 우수 |
70~79점 | C | 보통 |
60~69점 | D | 부족하지만 최소 기준 충족 |
40~59점 | E | 미달 (미이수 처리) |
E등급을 받은 과목은 학점을 인정받지 못하며, 보충 이수 등을 통해 학점을 다시 취득해야 한다.
2. 상대평가(석차등급)란?
상대평가는 같은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의 성취 결과를 비교하여 석차 등급으로 나타내는 방식이다. 이는 학생의 상대적 경쟁력을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상대평가(석차등급) 기준(예시):
석차 등급 구간 등급
상위 4% 이내 | 1등급 |
상위 11% 이내 | 2등급 |
상위 23% 이내 | 3등급 |
상위 40% 이내 | 4등급 |
그 외 구간 | 5~9등급 |
상대평가는 동일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집단 내에서의 위치를 나타내어, 학생이 어느 정도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3. 병기하는 이유
성취도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병기하는 이유는 학생의 학습 성과를 다각도로 평가하기 위함이다.
- 절대평가는 학생이 기준을 얼마나 충족했는지를 보여준다. 이는 성실성과 학습 태도를 반영하며, 자기 주도 학습의 결과로 볼 수 있다.
- 상대평가는 동일 조건 내에서 학생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여준다. 이는 경쟁력과 비교 우위를 나타내는 지표다.
두 가지 평가 결과를 함께 표기함으로써 학생의 학업 수준과 경쟁력 모두를 대학 및 향후 진로 평가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4. 구체적 예시
실제 학생의 성취 결과 표기 예시는 다음과 같다.
과목명 절대평가(성취도) 상대평가(석차 등급)
영어Ⅱ | A (매우 우수) | 2등급 (상위 11% 이내) |
미적분 | B (우수) | 3등급 (상위 23% 이내) |
한국사 | C (보통) | 4등급 (상위 40% 이내) |
5. 결론 및 시사점
고교학점제에서 성취도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병기는 학습 결과를 더욱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이다. 학생과 학부모는 절대평가를 통해 학습의 성실도와 이해도를 점검해야 하며, 상대평가를 통해 경쟁력 또한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학생은 기본 개념과 학습 태도를 충실히 다져 절대평가 기준을 충족함과 동시에, 과목 선택 시에는 경쟁력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학부모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정기적인 성취도 점검과 학교 상담, 과목 선택 지도를 통해 자녀의 학습 계획과 방향성을 함께 점검해야 한다.
'아이키우기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를 잘하는 유전자가 정말 있을까? 과학적으로 접근한 진실과 부모가 알아야 할 점 (1) | 2025.03.26 |
---|---|
고교학점제에서 '최소 성취 수준 보장제도' 는 무엇인가? (0) | 2025.03.25 |
2028 수능 통합형 과목 구성, 어떻게 바뀌나?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정리 (0) | 2025.03.25 |
고교학점제, 선택 과목이 개설되지 않으면 어떻게 배우나요? 대안 학습 방법 총정리 (0) | 2025.03.25 |
중학교 3학년, 학부모 상담에서 꼭 물어볼 것들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