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입지
역 근처이거나 역이 들어올 지역
2. 가격이 저렴한지 확인
가격이 저렴한지 알려면 전반적인 부동산 시세를 꾸준히 지켜봐야 알 수 있다
내가 관심 있는 지역의 가격 변화, 그와 비슷한 지역의 가격 변화를 살피고
고점 대비 얼마나 떨어졌는지 확인하고
더 떨어질 가능성도 체크해서 결정하는 것이 좋다
(저평가로 판단된다 하더라도 더 떨어질 가능성도 염두해봐야 한다
바닥을 정확히 알 수 있는 사람은 없으니까
내가 저평가라고 생각해서 청약을 넣어더라도
최악의 경우도 생각해야 한다
주변 시세가 청약 가격보다 낮아질 경우
어느 정도까지 내가 심리적으로 감당 가능한지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단지들이 모여 있는 곳에 위치해 있는가?
홀로 단지들은 주변 호재가 있더라도 오르기 쉽지 않음
그리고 그 호재가 언제 될 건지 확실한 날짜가 나온 것이 아니라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728x90
반응형
'자산관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시장 연착륙과 서민, 취약계층 주거안정 역점 추진(20230103) _분양가 상한제 장단점 요약 (0) | 2023.01.07 |
---|---|
주택 보유수에 따른 상황별 전문가의 조언 (3) | 2023.01.03 |
정부, 취득세 중과 완화한다 (2022.12.21) (0) | 2022.12.21 |
3주택 합산 공시가 12억원 미만 일반세율 과세 (0) | 2022.12.13 |
23년도 보금자리론 확대 운용방향 _ 특례보금자리론 (0) | 2022.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