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학군지에서도 SKY 갈 수 있을까? 비평준화 일반고 전략 A to Z
서울 강남만 가야 SKY 간다고요?
2025년 입시, 이제는 '지역보다 전략'입니다.
비학군지, 비평준화 지역 일반고에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SKY) 합격한 학생들,
실제로 늘고 있고, 공통 전략도 명확합니다.
오늘은 그 핵심 전략과 실제 합격 사례를 티스토리 스타일로 알려드립니다.
비학군지? 비평준화? 간단 정의부터!
- 비학군지란?
서울의 강남 8학군, 목동, 분당처럼 유명 학군이 아닌 지역을 의미합니다. - 비평준화 일반고란?
고등학교 배정을 성적 순으로 하는 지역. 예) 경기도 파주, 양주, 포천, 전북 군산 등
📌 특징:
👉 상위권 학생이 분산되어 있어 내신 관리에 유리
👉 입시정보 접근성은 낮지만, 온라인 정보력으로 커버 가능
2025학년도 SKY 합격한 비학군지 출신 실제 사례
사례 ① 전북 군산 일반고 →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학교 활동 중심 학종 준비
- 생명과학 자율 동아리 운영
- 지역 농산물 관련 R&E (소논문) 수행
- 전북교육청 공모전 수상 경력
- 지역균형 전형 활용 (내신 1.3등급)
- 학교장 추천으로 서울대 지역균형 전형에 지원
- 자기소개서 + 교과세특 충실 기록
- 1차 서류 통과 후 면접 합격
📍 Point
서울대는 2025학년도에도 지역균형전형 유지 중,
비평준화 상위권 학생에게 기회의 문이 열려 있습니다.
사례 ② 경기 파주 일반고 → 고려대 경영학과 (정시)
- 내신은 2.3등급으로 학종은 어려움
- 정시 준비에 올인: 메가스터디 인강 + 독학 관리형 학원
- 수능 점수: 국92 / 수(미적)96 / 영1 / 탐구(사문, 생활과윤리) 각 2
- 고려대 정시 일반전형 인문계 합격
📍 Point
비학군지라도 정시 점수만 높으면 학군 불리함 상관없음!
입시군 분할(가/나군 선택) 잘하면 합격 가능성 UP.
비학군지 학생이 SKY 가는 전략 3가지
1. 내신+교내활동 기반 학종 노리기 (수시)
- 세특은 정성 평가! → 교사와 소통해 기록 남기기
- 동아리, 봉사, 독서도 질이 중요
- 비교과의 질을 높이면 입시위원 눈에 띕니다
2. 지역균형 전형 적극 활용
-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모두 2025학년도 지역균형 유지
- 추천 인원 제한 있지만 내신 1.5 이내면 충분히 도전 가치 있음
3. 정시 전략은 냉정하게
- 수능 중심 학습은 커리큘럼 짜서 체계적으로
- EBS 연계+기출 반복 학습
- 상위권 독학 관리형 기숙학원 활용 사례도 많음
꼭 알아야 할 2025 입시 포인트
대학 지역균형 전형 유지 정시 비율 주요 특징
서울대 | O (고교장 추천 必) | 약 40% | 수시 학종+면접 강세 |
연세대 | O (학교장 추천 전형) | 약 43% | 정시 수능+서류 병행 |
고려대 | O (학교추천전형) | 약 42% | 수시 학종과 정시 균형 |
"학군보다 중요한 건, 전략과 실행"
비학군지에서도 SKY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중요한 건 내가 어떤 전략을 세우고,
얼마나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실행하는가입니다.
728x90
반응형
'자녀 교육 실전기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선택을 위한 지침서 《그래서 고등학교를 어디로 가야 할까요》 (0) | 2025.05.07 |
---|---|
2025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표준편차가 없어진다? (0) | 2025.04.30 |
AI 시대, 어떤 공부법이 필요할까? (1) | 2025.04.29 |
왜 분수 더하기 할 때 통분해야 할까? (0) | 2025.04.29 |
수학 점수는 왜 이렇게 안나올까?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