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가 꼭 알아야 할 내신 변화와 고등학교 선택 전략
2025년부터 우리 아이들이 고등학교에서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수업을 듣고, 성적을 평가받게 됩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과 함께
‘표준편차’ 삭제라는 큰 변화가 있습니다.
단순히 "점수 계산 방식이 바뀌는 거겠지" 하고 넘기기엔,
입시 전략부터 고등학교 선택까지 전부 다시 봐야 할 문제예요.
오늘은 복잡한 교육용어는 줄이고,
엄마들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핵심만 정리해 드릴게요.
믿고 읽으셔도 좋습니다 😊
고교학점제, 쉽게 말하면?
2025년부터는 모든 고등학교가
마치 대학교처럼 아이들이 과목을 직접 선택해서 듣는 ‘학점제’ 방식으로 바뀝니다.
즉,
“담임 선생님이 짜주는 시간표를 그대로 듣는 게 아니라,
아이가 직접 과목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는 시대가 온다”는 뜻이에요.
이과 학생이지만 예체능 과목도 들을 수 있고,
문과지만 과학이나 수학 심화과목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로움이 생깁니다.
그런데 왜 ‘표준편차’가 없어진다는 걸까?
✔️ 먼저, 표준편차가 뭔가요?
예를 들어,
우리 아이가 수학 시험에서 90점을 맞았어요.
그런데 A학교에서는 대부분 아이들이 92~95점을 맞았고,
B학교에서는 평균이 75점이에요.
표준편차는 바로 이 차이를 설명해 주는 수치예요.
즉,
"우리 아이 성적이 그 반에서 얼마나 잘한 건지를 수치로 보여주는 것"
이게 바로 표준편차예요.
그런데 2025년부터 표준편차가 사라진다?
맞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에서 표준편차 항목이 완전히 빠지게 됩니다.
그럼 대학교는 어떻게 학생의 실력을 판단하느냐고요?
→ **‘성취도별 분포 비율’**이라는 항목으로 대체됩니다.
예를 들어,
- A를 받은 학생이 반에 몇 명인지
- 전체 학생 중 B, C 등급이 몇 퍼센트였는지
이런 식으로 비율만 제공되죠.
그럼 대입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① 내신 성적의 ‘미세한 차이’가 사라진다
같은 A등급이어도, 전에는
- 91점인지,
- 99점인지,
- 반 평균보다 훨씬 높은 점수인지
‘표준편차’로 대학이 알 수 있었어요.
이제 그게 안 되니까,
대학도 정성 평가(세특 내용, 활동 내역)에 훨씬 더 주목하게 됩니다.
② 활동 중심 학교생활이 더 중요해진다
그동안은 “시험만 잘 보면 되지” 하는 생각이 강했죠.
하지만 이제는,
- 어떤 과목을 선택했는지
- 그 과목에서 어떤 활동을 했는지
- 교과 세특에 어떤 표현이 남았는지
이런 기록들이 입시에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엄마들 질문 Q&A
Q. 그럼 내신 따기 쉬운 학교를 보내는 게 맞을까요?
☑️ 부분적으로는 맞습니다.
표준편차가 사라져도, 여전히 내신 등급 자체는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수시 전형에서는 여전히 1~2등급 학생들이 유리하니까요.
그렇다면…
“우리 아이가 상위권을 노릴 수 있는 학교”를 찾는 게 맞는 전략이에요.
Q. 고등학교는 어떻게 골라야 할까요?
이건 입시 전략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크게 3가지 방향으로 정리할 수 있어요.
2025 이후 고등학교 선택 전략
전략 어떤 아이에게 유리할까? 예시
① 내신 위주 전략 | 성실하고 교과 공부 잘하는 아이 | 비평준화 일반고 |
② 활동 중심 전략 | 탐구, 발표, 글쓰기 좋아하는 아이 | 자사고, 세특관리 잘하는 명문고 |
③ 수능 중심 전략 | 내신보단 수능에 강한 아이 | 과학고, 독학 관리형 고등학교 |
엄마가 기억해야 할 핵심 한 줄
"표준편차는 사라졌지만, 아이의 노력이 사라지는 건 아닙니다."
우리 아이가 어떤 과목을 선택하고,
그 안에서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성장했는지가
앞으로의 입시에선 훨씬 더 중요해질 거예요.
그러니 이제는 학교 ‘간판’보다,
아이에게 맞는 환경을 골라주는 것이
진짜 입시 전략입니다.
엄마들을 위한 체크리스트 (저장해 두세요!)
✔️ 우리 아이가 주도적으로 공부하는 스타일인가요?
✔️ 활동(토론, 발표, 탐구 등)에 흥미를 보이나요?
✔️ 교과 성적에 비해 세특 내용은 잘 나오는 편인가요?
✔️ 내신 경쟁이 치열하지 않은 학교를 찾고 있나요?
이 질문에 YES가 많다면,
벌써 고교 선택의 방향이 보이기 시작한 거예요 😊
With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2025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standard deviation will be eliminated?
'자녀 교육 실전기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을 잘하려면 꼭 필요한 4가지 재능 – 유튜브 가든패밀리에서 얻은 인사이트 (0) | 2025.05.08 |
---|---|
고등학교 선택을 위한 지침서 《그래서 고등학교를 어디로 가야 할까요》 (0) | 2025.05.07 |
비학군지에서도 SKY 갈 수 있을까? 비평준화 일반고 전략 A to Z (2) | 2025.04.30 |
AI 시대, 어떤 공부법이 필요할까? (1) | 2025.04.29 |
왜 분수 더하기 할 때 통분해야 할까?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