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진심으로 인도를 향해 떠났다. 하지만 세계의 지도를 바꾸었다.”
1492년,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향해 첫 항해를 떠날 때, 그의 손에는 특별한 책 한 권이 들려 있었습니다.
바로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The Travels of Marco Polo)』**입니다.
이 책은 단순한 여행기가 아니라, 콜럼버스의 항로, 목표, 기대, 심지어 착각까지 만든 결정적 책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왜 콜럼버스가 이 책에 집착했는지, 실제 항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동방견문록』이란 어떤 책인가?
- 저자: 마르코 폴로 (Marco Polo), 베네치아 상인
- 기록자: 루스티첼로 다 피사 (구금 중 구술한 내용을 정리함)
- 작성 시기: 약 1298년경
- 내용: 13세기 동방 세계(중국, 몽골, 인도 등)에서의 경험과 문물, 쿠빌라이 칸과의 만남 등을 상세히 기록
- 특징: 유럽에서는 상상도 못 한 부, 향신료, 황금, 이국적 풍습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함
이 책은 당시 유럽인에게 **'환상 속의 아시아'**를 심어주었고, ‘황금의 섬 Zipangu(일본)’, 강물에 금이 떠다니는 땅, 위대한 칸의 제국 등 엄청난 자극을 주었습니다.
콜럼버스는 왜 『동방견문록』을 들고 갔을까?
콜럼버스는 『동방견문록』을 단순히 읽기만 한 것이 아닙니다.
그는 이 책을 소장했고, 그 안에 빼곡히 주석을 남기며 자신의 항해 계획을 세우는 데 적극 활용했습니다.
이유 1. 아시아는 반드시 서쪽으로도 갈 수 있다!
『동방견문록』 속 묘사된 동방의 도시들과 그 거리, 위치를 보고 콜럼버스는 지구를 작게 계산했습니다.
그리고 “서쪽으로 돌아가면 동방에 이를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죠.
이유 2. Zipangu(일본) = 황금의 섬
책 속에서 일본은 ‘금이 넘쳐나는 섬’, 중국은 **‘향신료와 부의 제국’**으로 등장합니다.
콜럼버스는 자신이 그곳에 도달하면 유럽을 부강하게 만들 금과 향신료를 손에 넣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유 3. ‘동방 견문록’은 로망이자 나침반
당시 유럽에는 아시아에 직접 가본 사람이 드물었기에, 『동방견문록』은 가장 신뢰받는 지리 정보였습니다.
콜럼버스는 마치 이 책을 지도의 일부처럼 사용했습니다.
실제로 항해에 어떤 영향을 줬나?
1. 항해 목적지: ‘인도’가 아닌 카리브해
콜럼버스는 **동방견문록 속 Zipangu(일본)**을 목표로 서쪽으로 항해했지만, 실제로 도착한 곳은 바하마 제도였습니다.
하지만 그는 그곳이 인도 근처라고 믿고, 원주민들을 **‘인디언’(Indians)**이라 부르기 시작했죠.
2. 잘못된 거리 계산
『동방견문록』과 함께 참고한 『이마고 문둥이(Imago Mundi)』 등의 책에서는 지구의 크기를 작게 잡았습니다.
콜럼버스는 아시아가 훨씬 가까이 있다고 믿었고, 실제로 대서양 한가운데서도 곧 중국이 나올 거라 확신했죠.
3. 주석이 남은 책 실물
현재 스페인 바르셀로나에는 콜럼버스가 소장했던 『동방견문록』 사본이 보존돼 있습니다.
이 책에는 콜럼버스가 남긴 수많은 밑줄과 주석, 계산 기록이 그대로 남아 있어, 그가 얼마나 이 책을 진지하게 참고했는지 보여줍니다.
왜 이 이야기가 중요한가?
콜럼버스의 항해는 단순한 탐험이 아니었습니다.
중세 유럽의 상상력과 문헌이 현실 세계를 어떻게 바꾸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마르코 폴로의 기록이 없었다면, 콜럼버스의 항해도 없었을지 모릅니다.
그리고 그 항해가 없었다면,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지도는 전혀 다른 모습일 수도 있겠죠.
한 권의 책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요?
콜럼버스와 『동방견문록』의 관계는 그 물음에 대한 하나의 증거입니다.
무엇을 읽고,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인간의 행동은 바뀝니다.
그리고 때론, 그 행동이 인류의 역사를 뒤흔드는 항해가 되기도 합니다.
Marco Polo's 『The Book of Eastern Travel』, a book that changed the history of | to move Columbus' voyage
'자녀 교육 실전기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도 짓는 중? 140년째 건축 중인 성당, 사그라다 파밀리아 이야기 (0) | 2025.05.20 |
---|---|
심리학과, 생명과학을 함께 전공하면 가능한 직업은? 융합 전공 진로 가이드 (1) | 2025.05.19 |
대수란 무엇인가요?|초등부터 고등까지 꼭 알아야 할 수학 개념 정리 (0) | 2025.05.17 |
초·중·고 수학 개념연결 지도 - 단원별 상세 정리편 (0) | 2025.05.15 |
기회균등·지역인재·지역균형 전형 완벽 정리|교육 격차를 줄이는 대학입시 제도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