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친구들과 관계를 맺는 것이 더 중요한 시기
여자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의 경우 특히 단짝친구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 관심이 많으시더라고요. 저는 개인적으로 아이가 일찍 단짝 친구가 생기는 것을 오히려 반기지 않아요. 그 이유는 아이가 관계에 대해 자신감이 없는 상태에서 단짝 친구가 생겨버리면 다른 친구들과의 교류가 줄어들고 한 사람에게만 맞춰서 생활하게 되는 상황이 되거든요. 만약 둘 사이가 소원해지거나 힘들어지면 다른 친구 관계를 맺을 스킬과 용기가 없어서 인간관계에 대해 더 좌절하고 힘들어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아이가 다양한 관계를 경험하고 나에 대해 좀 알 거 같고 친구의 소중함도 좀 알게 되었을 때 자연스럽게 대화가 잘 되고 같이 있으면 편안함을 느끼고 단짝 친구를 만난다면 너무 좋을 거 같아요. 관계는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해요, 지연스럽게 받아들인 관계가 설령 틀어지더라도 아이 안에 스스로 감내하고 견딜 수 있는 힘이 있을 거라는 믿음이 있어요. 물론 힘들겠지만 -
1-3학년 초등생에게 단짝 친구가 생기는 경우는 양육자의 노력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요
그 이유는 아이들이 아직 단짝 친구를 만들 만큼 인지기능과 사회성이 발달하지 않아 독립적으로 누군가와 끈끈한 관계를 이어가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죠. 아이에게 억지로 단짝 친구를 만들어 주려고 노력하진 않는지, 아이는 단짝 친구가 없어도 잘 지내고 있는데 나의 개인적인 불안을 아이에게 투사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생각해보셔야 해요.
초등학교 때 친구 관계에서 중요하게 생각할 점
친구의 중요성
친구는 우리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 그들과 함께 지내면서 소통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키워줍니다. 그래서 초등학교 시절에도 친구 관계는 중요해요.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방법은 책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고요 오늘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아이와 이야기하면서 상황에 맞게 친구의 중요성을 알려주시는 것도 좋아요. 예를 들어 아이가 오늘 준비물을 안 가져갔는데 옆에 있던 00가 빌려주었다고 하면 친구의 도움으로 네가 수업을 잘할 수 있었겠다 이야기해 주면서 친구의 고마움, 서로 도와줄 수 있는 관계에 대해 짧게나마 대화를 나눠보세요.
다양성을 강조
초등학교 시절에 단 한 명의 단짝친구만 가지려고 애쓸 필요는 없어요. 다양한 친구와 어울리면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친구들과 지낼 때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저희 아이는 학교생활이 끝나고 놀이터에서 놀다 오는데 다른 반 아이들은 물론 다른 학년 아이들도 같이 놀게 되더라고요. 친구의 폭이 넓어져서 배우는 것이 많아요. 놀이터가 활성화된 동네라면 추천합니다.
성격 맞추기보다는 배우기
단짝친구가 되는 것은 좋지만, 그 사람과 성격이 너무 다르다면 갈등이 생길 수도 있어요. 그럴 때는 서로 배우는 관계로 존중하며 지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잘 안될 수 있고 모르는 것은 부모님이 대화로 도와주시는 것도 방법이예요. 물론 여러 가지 해결 방법들을 함께 이야기해 보고 그중에 아이가 선택해서 행동으로 옮겨 보는 것이 중요해요.
혼자 지내는 시간도 필요
친구들과 노는 시간 만큼 혼자 지내는 시간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자신만의 취미나 관심사를 발견하고, 혼자 있을 때도 행복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해요. 사람들과 같이 어울리는 시간만큼 혼자 있는 시간이 있어야 일상의 균형감을 느낄 수 있어요.
편안한 느낌
어떤 친구와 지내면서 편안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지도 중요합니다. 친구와 함께 있을 때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그 관계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요. 내가 친해지고 싶은 친구지만 같이 있으면 불편한 친구가 있을 수 있거든요. 아이가 이런 문제로 고민을 이야기한다면 같이 대화로 이해해 주세요.
친구를 사귀는 패턴이 있는 아이
항상 같은 유형의 친구를 고르는 습관이 있는지 살펴보세요. 가끔은 다른 유형의 친구를 만나보는 것도 아이가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는데 도움이 돼요. 사람은 누구에게나 장점이 있고 단점이 있다는 점, 나와 다르기 때문에 나를 도와줄 수도 , 내가 도와줄 수도 있는 관계라는 것을 알려주세요.
개인적으로 초등학교 때 단짝 친구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다만 친구 관계를 소중히 여기고 다양한 경험을 쌓는 시기라는 점을 기억해주세요. 무엇보다도, 아이가 자신을 받아들이고 자신만의 가치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친구들과 함께할 수 있는 기회의 소중함을 알아가는 것이 중요해요. 불안하시더라도 아이들의 친구 관계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시기보다는 한발 짝 뒤에서 바라봐주세요. 서툴더라도 독립적으로 관계를 맺어 본 아이가 커서도 주체적으로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인간관계를 잘 조절할 수 있어요.
아이의 전학할 때 필요한 부모님의 정서적 준비
아이의 전학할 때 필요한 부모님의 정서적 준비 전학은 아이에게도 부모에게도 큰 변화입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아이가 겪게 될 다양한 감정과 도전을 이해하고 지지해주는 것
vuej.tistory.com
'아이키우기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4의 책세계] 매력적인 소재의 매직 피시, 바다에 빠진 소녀 (1) | 2023.09.09 |
---|---|
저는 이렇게 초등학교 학부모 상담해요(학부모상담요령) (0) | 2023.09.04 |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은 무엇일까? (2) | 2023.09.03 |
10대 추천책] 사피엔스 그래픽 히스토리 _인류의 탄생 (생물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진화론: 이종교배설과 대체설) (1) | 2023.08.25 |
MBTI로 보는 나에게 맞는 학습방법 (0)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