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진화론부터
진화론은 생물의 다양성과 변화를 이해하는 학문입니다. 이론적으로, 모든 생물은 공통 조상에서부터 변화하며 발전해왔다고 믿어요. 진화론은 어떻게 생물이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하는지, 왜 다양한 종이 존재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진화론의 핵심 개념은 자연선택과 적응
환경이 변하면서 생존에 적합한 특성을 가진 개체들이 더 많이 생존하고 번식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그 특성이 다음 세대로 전달되면서 종 전체가 변화하게 됩니다.진화론은 수많은 관측과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워진 이론입니다. 화석 발견, 유전자 분석, 생물의 구조와 특징 등을 통해 과거부터 현재까지 생물의 변화와 연결고리를 찾아냈습니다.
진화론은 생물의 다양성과 변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학문
이종교배설과 대체설은 생물들이 어떻게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생존 능력을 향상시키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왜 다양한 동물과 식물들이 지구상에 존재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생물의 다양성과 생존 전략을 설명하기 위한 이종교배설과 대체설
현재 존재하는 모든 인간은 호모사피엔스예요. 아프리카에서 살던 호모 사피엔스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인구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해요. 이때 인구 증가의 방법에 관한 설이 두 가지가 있는데요 그것이 바로 이종교배설과 대체설이예요.
이종교배설 (Hybridization) 다양한 유전자의 만남
우리 주위의 생물들은 각자의 특징과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종교배설은 서로 다른 종의 생물들이 교배하여 새로운 혼종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종의 유전자가 섞여 새로운 생물의 형질이 결정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두 종의 새가 교배해서 새로운 형태의 새가 탄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종교배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시 1: 말과 나귀의 교배로 얻은 노새
말과 나귀는 서로 다른 종입니다. 그러나 말과 나귀가 교배하게 되면 노새라는 새로운 종이 탄생할 수 있습니다. 노새는 말과 나귀의 유전적인 특성을 섞어 가지게 되며, 그 결과로 말보다는 크고 나귀보다는 작은 몸 크기와 특성을 지닌 개체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다양한 특성을 가진 노새는 특정 환경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생존과 번식에 더 유리한 특성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예시 2: 도그와 울프의 교배로 얻은 늑대견
도그와 울프는 서로 다른 종입니다. 그러나 도그와 울프가 오랜 시간 동안 교배하면서 늑대견이라는 새로운 혼합종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늑대견은 도그의 친밀성과 울프의 야생적인 특성을 함께 가지며, 이러한 특성이 인간과 함께 살기에 적합한 특성으로 발전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늑대견은 인간과 함께 일하고 살면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대체설 (Adaptation) 환경에 적응하는 생존 능력
생물들은 주변 환경과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해 변화하고 적응합니다. 대체설은 생물이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며 살아남기 위해 형태나 특성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생물은 수많은 세대를 거쳐 환경에 맞는 적응형태로 발전하게 되는데요, 이것이 대체설의 핵심 개념입니다.
예시 1: 조류의 부리 모양 변화
생명체 중 하나인 조류의 부리 모양은 그들이 먹는 음식과 살아가는 환경에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하늘을 나는 조류의 부리는 고기를 잡기에 적합한 날카로운 형태를 가집니다. 그러나 다른 조류는 물속에서 먹이를 잡아먹는 데 사용되는 부리를 가질 수도 있습니다.
오랜 시간 동안, 어떤 조류는 물속에서 먹이를 잡아먹는 데에 더 효과적인 부리를 발전시키게 됩니다. 그리고 이 부리를 가진 조류들이 물속에서 먹이를 더 쉽게 잡아먹을 수 있어서 생존과 번식에 더 유리해지게 됩니다. 그 결과, 이러한 조류들이 번식에서 성공적이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물속에서 먹이를 잡는 부리를 가진 조류의 수가 늘어나게 됩니다.
예시 2: 나방의 색상 적응
어떤 나방 종은 나무의 특정 부분에 매달려 있을 때 나무의 색과 똑같은 색상을 가진 날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먹이 사슬에서 더 잘 숨을 수 있으며, 포식자들에게 노출될 확률이 줄어듭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무의 색상이 변화하거나 다양해질 때, 그에 맞게 나방의 날개 색상도 조금씩 바뀌게 됩니다. 그리고 나방 중에서 나무의 색상과 가장 잘 어울리는 날개 색상을 가진 개체들이 더 적응하여 포식자들로부터 더 잘 숨을 수 있게 되어 번식에 더 성공하게 됩니다.
*이 책에 두 가설에 대한 현재 상황을 잘 설명해 놓은 부분이 있는데 아주 흥미로워요. 궁금하신 분은 한번 읽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아이키우기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때 단짝 친구 필요할까요? (0) | 2023.09.04 |
---|---|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은 무엇일까? (2) | 2023.09.03 |
MBTI로 보는 나에게 맞는 학습방법 (0) | 2023.08.22 |
고래를 좋아하는 아이에게 아모스와 보리스, 고래를 좋아하는 어른에게 고래도서관 (2) | 2023.08.11 |
초4의 책세계] 고양이섬 / 수달씨, 작가되다 (1) | 2023.08.10 |